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[경제] 물가연동국채

by uzzing' 2023. 9. 3.

물가연동국채란?

원금 및 이자 지급액을 물가에 연동해 물가 상승에 따른 손실을 보전해주는 채권. 10년 만기 국채

 

발행 방식

재정경제부가 매월 입찰을 통해 발행.

 

지급 방식

두가지 방식이 존재

1. 이자를 '물가 상승률 + 고정 이자율' 처렴 인플레이션에 따라 조정하는 방식

2. 원금을 물가상승률만큼 지속적으로 상향 조절하면서 정해진 이자율 만큼의 금액을 이표로 지급하는 방식 (✅ 한국에서 사용하는 방식)

ex) 1억원 물가연동국채 투자 → 1년후 물가가 3%p 상승 → 원금 1억 300만으로 조정 → 조정된 금액에 대한 이자를 받는다.

 

물가연동국채의 장점

1. 인플레이션으로 화폐가치가 많이 떨어질 때 리스크 방어를 할 수 있다. 

2. 물가 상승률 만큼 원금에 복리로 쌓이는 수익에는 비과세가 적용되어 이자 소득세 감면 효과가 있다. 

3. 10년 만기 채권이기 때문에 분리과세가 가능하여 종합과세 대상이 되는 투자자에게 큰 효과가 있다. 

4. 다른 장기 채권가 마찬가지로 경기 불안으로 시장 금리가 하락할 때 매매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. 

 

물가연동국채의 단점

물가 상승률이 낮아진다면, 이자소득이 낮아진다. 극심한 디플레이션이 온다면 원금 손실에 대한 우려가 있다. 

 

 

 

📌 해당 내용은 아래 서적을 기반으로 작성했습니다. 

<채권쟁이 서준식의 다시쓰는 주식 투자 교과서> 서준식 저, p.108

 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