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독서

[독후감] 요즘금리 쉬운경제

by uzzing' 2022. 7. 26.

경제가 어떻게 변하는 지와 금리가 경제에 어떤 연관을 가지고 있는 지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내용이 구성되어 있었다. 경제가 안좋아지면 금리를 낮추고 사람들의 대출 접근을 높여 소비를 높이는데, 이 대출에 대한 집중이 부동산으로 집중되어 부동산 가격 상승을 일으켰다. 이러한 식으로 경제의 흐름을 읽는다는 것이 재미있게 읽혀졌다. 몇가지 내용들에 대해 정리를 해본다.

 


내용 정리

경기종합지수(CI) 는 선행종합지수동행종합지수가 중요

 

선행종합지수

: 앞으로의 경기가 어떻게 될 지 보여주는 지수. 아래는 이를 구성하는 지표들이다.

- 재고순환지표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건설수주액

- 소비자기대지수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 순상품 교역 조건

- 기계 수주액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 금융기관 유동성

- 자본재 수입액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장기간 금리차

재고순환지표 상품의 출하 증가율 - 재고 증가율
시장에 출시하는 상품 양 증가율 > 재고로 쌓이는 것의 증가율 => 경기 GOOD 기대
소비자기대지수 소비자들이 앞으로 경기를 어떻게 기대하고 있는지 설문조사해 수치화 한 것
기계수주액, 자본수입액 이 지표가 높아지는 것은 생산이 늘것으로 전망 => 경기 GOOD 기대
건설수주액 이 지표가 높아지는 것은 건설공사가 많아질 것으로 전망
순상품 교역 조건의 개선 수입단가보다 수출단가가 많아지면 수출액 상승 => 경기 GOOD 기대
금융기관 유동성 증가 돈이 풀려 경기회복을 기대
장단기 금리차 장기금리 >>> 단기금리 이면, 향후 돈을 빌리는 수요가 커진다는 뜻 => 경기 GOOD 기대 

 

동행종합지수

: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. 아래는 이를 구성하는 지표들이다.

- 광공업 생산지수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도소매 판매액 지수

- 제조업 가동률지수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내수 출하지수

- 건설 기성액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 수입액

- 서비스업 생산지수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비농가 취업자수

=> 위 수치가 커질수록 현재의 생산, 소비, 고용 등 경제 활동이 활발하다는 것을 나타낸다.


피셔방정식
: 경제에는 적절한 금리가 있으며 그 금리는 '공통 투자 수익률'에 '물가상승률'을 더한 수준에서 결정되어야한다.

 

공통 투자 수익률

- 기업이 어떤 형태의 투자를 하던지 최소한 벌어들일 수 잇을 것으로 기대되는 수익률
- 투자 수익률의 예상치 < 공통 투자 수익률  ==> 투자할 필요가 없음.
- 공통 투자 수익률 = 경제성장률

 

경제 성장률

- 경제 주체들이 평균적으로 얼마나 성장할 지를 나타내는 수치
- 기업 투자 성과물도 포함된다.

- 기업의 투자 수익률 < 경제 성장률   ==> 부진한 기업의 활동.

 

물가 상승률을 고려하는 이유

: 물가가 오르는 만큼 통화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감안해야 하기 때문이다. 

 

명목 공통 투자 수익률

- 물가 상승률을 감안해 기업이 최소한 달성해야한다고 보는 수익률

- 이자율의 역할을 함

- 명목 공통 투자 수익률 = 중립금리

 

중립금리

- 공통 투자 수익률 + 물가상승률

시장금리 < 중립금리     : 경기 부양적 - 물가가 오를 위험 존재
- 기준 금리를 올릴 명분이 생김
시장금리 > 중립금리     : 경기 긴축적 - 경기 위축 가능성 존재
- 기준 금리를 내릴 명분이 생김

시장금리

- 주로 만기 3년짜리 정보 발행 채권에 적용되는 금리로 판단한다.

 

 

하지만, 피셔방정식은 교과서 적인 이론 내용일 뿐 현실에서도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사항이라고 한다. 

따라서 보통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vs 경제성장률 에 대해 비교한다.

기준금리 < 경제 성장률 경기 부양적
기준금리 > 경제 성장률 경기 긴축적
기준금리 = 경제 성장률 중립적

 

반응형

댓글